삼성 출신 러프 “구단 탓에 선수 경력 끝났어” 신시내티에 법정 소송 제기

7 hours ago 1

삼성 라이온즈에서 뛰었던 다린 러프가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신시내티 레즈를 상대로 법정 소송을 제기했다.

KBO리그에서도 활약하며 팬들에게 친숙한 전 메이저리거 러프가 신시내티 구단의 경기장 시설 관리 소홀로 선수 커리어가 중단됐다며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AP통신 등 외신들은 23일 “러프가 오와이오 주 해밀턴 카운티 고등법원에 신시내티 구단을 상대로 손해 보상을 제기했다. 러프는 신시내티 구단이 홈구장의 관리를 소홀히 한 탓에 부상을 당했고 선수 경력이 끝나게 됐다며 구단에 손해 보상 소송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사진=김영구 기자

사진=김영구 기자

앞서 러프는 지난 2023년 6월 1일 밀워키 브루어스의 소속 선수로 경기에 출전했던 도중 부상을 당했다. 1루수로 당일 출전했던 러프는 1루 방면의 파울 플라이를 잡으려고 달리던 도중에 금속 재질의 대형 방수포 롤러에 무릎을 부딪혔다.

방수포를 감는 대형 롤러의 금속 부위에 완충재 등의 보호 장치가 되어 있지 않았고, 그 탓에 거기에 부딪힌 러프는 무릎 부상을 당했다. 이후 약 60일 간의 부상자명단에 등재됐던 러프는 결국 이후 메이저리그로 복귀하지 못하고 선수 경력을 마쳤다.

러프는 “방수포 롤러의 끝부분이 날카로운 금속 재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보호 완충재 쿠션 등이 설치 되어 있지 않았다”면서 “이런 일이 일어나선 안된다. 선수들은 경기장에서 부상을 당할 이런 위험을 걱정하지 않아야 한다”며 이번 소송을 제기한 이유를 밝혔다.

사진=ⓒAFPBBNews = News1

사진=ⓒAFPBBNews = News1

보도 내용에 따르면 신시내티 구단은 AP 통신 등의 러프 소송 제기 관련 질의에 대해 아직 특별한 입장을 내놓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국적의 우타 내야수 겸 외야수인 러프는 2009년 드래프트 20라운드 전체 617번으로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지명을 받았다. 이어 2012년 빠르게 빅리그에 데뷔한 이후 2016년까지 필라델피아에서 뛰었다. 당시 러프는 정확도는 떨어지지만 한방이 있는 플래툰 타자로 활약했다. 하지만 완전한 풀타임 주전으로 자리 잡지 못했다.

이후 러프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KBO리그에 진출해 삼성 라이온즈 소속으로 뛰면서 404경기에 출전, 타율 0.313, 홈런 86개, 350타점이란 뛰어난 성적을 올렸다. 이런 활약을 바탕으로 메이저리그로 다시 복귀한 러프는 ‘역수출 사례’의 성공적인 모델을 만들었다.

마이너리그를 거쳐 다시 메이저리그로 돌아간 러프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으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뛰었고, 이후 뉴욕 메츠-샌프란시스코-밀워키 등의 팀을 거쳤다.

해당 팀을 거치는 동안 러프는 메이저리그 통산 582경기에 출전, 타율 0.239, 홈런 67개, 타점 205개를 기록했다.

현역에서 은퇴한 이후 러프는 자신의 고향인 네브레스카로 돌아가 대학교 야구부에서 코칭스태프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원익 MK스포츠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