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은행 “2분기 수출 6~7% 감소 전망”

1 day ago 3

수출입은행 “2분기 수출 6~7% 감소 전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배터리·자동차·반도체 등 국내 제조업 전반이 미국 관세 리스크 영향권에 직·간접적으로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기업 2107개사 대상으로 '우리 제조기업의 미국 관세 영향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제조기업의 60.3%가 트럼프발 관세 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응답, 그 중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경기도 평택항에 선적을 앞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평택=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2025.04.01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배터리·자동차·반도체 등 국내 제조업 전반이 미국 관세 리스크 영향권에 직·간접적으로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기업 2107개사 대상으로 '우리 제조기업의 미국 관세 영향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내 제조기업의 60.3%가 트럼프발 관세 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응답, 그 중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경기도 평택항에 선적을 앞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평택=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2025.04.01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올해 2분기 수출이 1600억달러 수준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6∼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2일 밝혔다.

연구소는 수출선행지수가 지난해 4분기 하락세로 전환한 후 3분기 연속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어서 수출 경기 둔화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2분기 수출선행지수는 120.7로 작년 동기보다 0.2p 떨어졌다. 이 지수는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를 종합해 수출 증감 정도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한 지수다.

수출입은행 관계자는 “미국 관세 부과와 무역 정책 변화 등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증대됨에 따라 수출 감소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여의치 않아서 그 영향이 광범위해지거나, 관세 부과 인하로 미국 내 물가 상승 압력이 확대돼 소비 부진이 심화할 경우 수출 감소 폭도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