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영어네요. 어디서 그렇게 잘 배웠습니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아프리카 대통령들과 오찬을 하는 자리에서 라이베리아 대통령에게 이같이 ‘칭찬’을 했으나 실제로는 상식 밖 언급이었다고 로이터, AFP통신 등이 보도했다.
9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이날 오찬에서 보아카이 라이베리아 대통령은 “라이베리아는 미국의 오랜 친구”라면서 영어로 운을 뗐다.
그는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 것으로 믿는다. 이런 기회를 주셔서 감사하다”면서 특히 미국이 라이베리아에 투자해 줄 것을 촉구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아프리카 대통령들이 대체로 프랑스어 등 여러 언어로 말하던 와중에 보아카이 대통령의 ‘영어 실력’에 관심을 보였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렇게 훌륭한 영어라니”라며 감탄한 듯한 언급을 하더니 “어디서 그렇게 멋지게 말하는 것을 배웠습니까? 어디서 공부하셨나요?”라는 질문을 던졌다.
하지만 라이베리아에서는 영어가 공식 언어로,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황당한 칭찬이라는 지적이다.
이날 분위기가 더욱 씁쓸한 뒷맛을 남기는 이유는 라이베리아의 굴곡진 역사 때문이기도 하다.
미국은 1820년대 노예제도 폐지에 따라 흑인들을 이주시킬 서아프리카 후보지를 찾았는데, 원주민들의 저항과 희생 속에 라이베리아 일대에서 식민지 건설을 추진했다.
1816년 설립된 미국식민사회(ACS) 주도로 시작된 식민지 개척은 1847년 라이베리아 독립 선언에 이어 1862년 미국이 라이베리아 독립을 인정하면서 막을 내렸지만 지금도 원주민과 이주 흑인간 내전과 독재에 따른 상흔 속에 라이베리아는 최빈국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