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희토류 수출 전면 중단…트럼프 관세에 ‘맞불’

3 weeks ago 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이 희토류 광물과 자석에 대한 대미 수출을 전면 중단하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해석되며,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수출 통제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하고 있다.

산업계에서는 미중 갈등이 관세 전쟁을 넘어 기술 패권과 자원 통제권을 둘러싼 장기전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 출처 = 연합뉴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 출처 = 연합뉴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이 맞불 관세에 이어 희토류 광물과 자석에 대한 대미 수출을 전면 중단하는 등 대응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다.

뉴욕타임즈는 13일(현지시간) “중국이 자동차 및 우주항공 부품에 필수적인 특정 희토류 광물과 자석의 미국 수출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를 시작한 데 대한 보복 조치로 풀이된다.

앞서 백악관은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145% 관세가 적용된다고 밝혔다. 중국의 펜타닐 대응을 문제 삼아 부과한 20% 관세에 상호관세 125%를 더한 수치다. 뉴욕타임즈는 “백악관이 ‘125%는 기존 20% 관세 위에 추가된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이번 수출 제한이 단발적 조치가 아닌 장기 전략의 일환이라고 분석한다. 중국은 2023년 이후 흑연, 갈륨, 게르마늄 등 핵심 광물과 정제 기술에 대한 수출 통제를 반복해 왔다. 이번에 수출이 제한된 7종 희토류는 전기차 모터, 형광체, 방사선 치료 등 첨단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핵심 소재들이다.

현재 미국 내 희토류 광산은 단 한 곳뿐이다. 전체 수입의 약 75%가 중국산일 만큼 의존도가 높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희토류 전략비축을 의무화하는 행정명령에 곧 서명할 예정이라고 파이낸셜타임즈는 전했다.

산업계에선 “중국의 희토류 무기화가 본격화되면서, 미중 갈등은 단순한 관세 전쟁을 넘어 기술 패권과 자원 통제권을 둘러싼 장기전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중국은 미국이 누적 관세율을 145%로 올리자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종전 84%에서 125%로 상향하며 맞불 관세를 부과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2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