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8개국 관세서한 추가발송…브라질은 10%→50%

9 hours ago 1

이례적으로 정치적 요구 담은 관세 서한 보내

AP 뉴시스

AP 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브라질, 필리핀 등 8개국에 대한 상호관세 서한을 추가로 공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브라질 50% △필리핀 20% △브루나이 25% △몰도바 25% △알제리 30% △이라크 30% △리비아 30% △스리랑카 30% 등 8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통보하는 서한을 각각 공개했다.

이번에 발표된 관세율은 지난 4월 2일 처음 공개됐던 것과 비교해 일부 조정됐다.

가장 눈에 띄는 국가는 브라질로 트럼프는 정치적인 이유를 들며 당초 10%의 관세율을 50%로 무려 40%포인트(p)나 상향했다. 트럼프는 최근 브라질 등 미국에 반감을 가진 주요 신흥 경제국 모임인 ‘브릭스’ 회원국들에게 10% 추가 관세를 위협한 바 있다.

트럼프는 그간 국가명과 상대국 정상 이름 정도만 바꾸되 내용은 동일한 관세 서한을 보냈지만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는 정치적 메시지를 담았다.

트럼프는 서한에서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 재판에 대해 “국제적인 불명예다. 이는 마녀사냥으로 즉시 중단하라”라고 요구했다.

한때 남미의 트럼프라고 불리던 보우소나루는 2022년 대선에서 룰라에게 패한 뒤 권력 유지를 위해 쿠데타를 모의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브라질 검찰 공소장에 따르면 보우소나루는 룰라 대통령의 암살을 계획하고 군부 쿠데타를 통해 입법·행정·사법 3권을 장악하려 한 혐의를 받는다.트럼프는 지난 7일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도 “브라질은 전직 대통령을 끔찍하게 대우하고 있다”며 보우소나루 재판을 ‘마녀사냥’이라고 주장했다.

브라질 외에 필리핀은 17%에서 20%로 3%p 상향 조정됐고 브루나이는 24%에서 25%로 1%p 올라갔다.

알제리는 변동이 없었으며 이라크는 39%에서 30%, 리비아는 31%에서 30%, 몰도바는 31%에서 25%, 스리랑카는 44%에서 30%로 관세율이 각각 하향 조정됐다.

이번에 통보된 관세는 오는 8월 1일부터 발효된다.

이는 지난 7일 한국(25%)과 일본(25%)을 포함한 14개 교역 상대국에 관세 서한을 보낸 데 이은 추가 조처다. 지금까지 8월 1일 발효될 상호관세율을 재통보받은 국가는 21개국으로 늘었다.

상호관세율이 국가별로 특별한 이유 설명도 없이 조정되자 ‘도대체 기준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다시 제기됐다.

이날 아프리카 5개국 정상과의 오찬 회담에서 한 기자가 ‘최근 관세 인상은 어떻게 계산했는지 설명해 달라. 특정 공식이 사용됐나’라고 묻자, 트럼프 대통령은 “상식과 무역적자, 과거에 우리가 받은 대우, 그리고 순수한 숫자에 기반한 공식”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오찬 간담회는 브라질에 대한 상호관세 서한 공개에 앞서 열린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브라질을 예로 들며 “그들은 우리에게 전혀 좋지 않았다”면서 “매우 실질적인 사실과 과거 역사에 기반을 두고 있다”라며 미리 인상을 암시했다.

한편 미국의 주요 무역 상대국인 유럽연합(EU)과 인도에 대한 관세 서한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이는 해당 국가들과의 무역 협상이 막판까지 진행 중이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등 미국 협상팀은 인도 및 EU와의 협상에서 일부 진전을 이루고 있으며 합의 도출을 위해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는 미국의 관세에 대응해 세계무역기구(WTO)에 보복 관세 부과를 통보하며 강경한 입장을 보인 반면 EU는 상호관세 부과를 일단 막기 위해 원칙적 합의를 모색하는 등 각자 다른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워싱턴·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