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측근 마이런 Fed 이사 "금리 공격적으로 인하해야"

3 hours ago 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측근인 스티븐 마이런 신임 미국 중앙은행(Fed) 이사가 현재 Fed의 기준금리가 지나치게 높으며 공격적으로 인하돼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마이런은 22일 현지시간) 뉴욕 이코노믹클럽 연설에서 “세금·이민 정책 변화, 임대료 완화, 규제 완화, 그리고 관세로 인한 세수 증가가 Fed의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약 2%포인트 낮출 수 있는 새로운 경제 환경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Fed는 모든 미국 가계와 기업의 이익을 위해 물가 안정이라는 중대한 책무를 부여받았다”며 “인플레이션을 2%로 안정적으로 되돌리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책을 이처럼 큰 폭으로 제약적인 수준에 두는 것은 연준의 고용 책무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한다”고 경고했다.

마이런은 백악관의 정책 변화가 성장도 억제하지 않고 자극하지도 않는 중립적 금리 수준을 낮추고 있다고 주장했다. ‘테일러 준칙’ 등 금리 모형과 이론을 인용하며, 현행 통화정책은 동료 정책 입안자들의 인식보다 훨씬 더 제약적이라고 강조했다. 연방기금금리는 연 2%대 초반이어야 한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그러나 지난주 인하 이후 현재 목표 범위는 연 4.0~4.25%다.

그는 “정책은 심각하게 제약적인 영역에 들어섰다”며 “단기 금리를 약 2%포인트 과도하게 높은 수준에 두면 불필요한 해고와 실업률 상승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마이런의 시각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내에서 비주류에 속한다. 현재 위원회는 향후 수년에 걸쳐 신중하고 점진적인 인하를 선호하고 있다.

지난주 회의에서 FOMC는 0.25%포인트 인하를 11대 1로 의결했으며, 마이런은 유일하게 0.5%포인트 인하를 주장했다. 그는 점도표에 올해 추가로 연 1.25%포인트 인하를 반영하는 전망치를 제시했다.

같은 날, 투표권을 가진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추가 인하 여지가 거의 없다고 말했고, 투표권이 없는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추가 인하를 지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마이런은 지난 8월 초 아드리아나 쿠글러 전 이사의 돌연 사임 이후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지명됐다. 트럼프처럼 그는 Fed 비판론자로 알려져 있지만, 회의 분위기는 협조적이고 진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주택 임대료 둔화 등 아직 지표에 반영되지 않은 요인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하락세에 있다고 판단,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동시에 경제성장에 대해선 낙관적 전망을 내놨다. 이는 전통적 사고와는 다소 상충하는 태도다.

그는 질의응답에서도 “정책이 약 2%포인트 정도 과도하게 제약적이라고 본다”며 “앞으로 성장이 다소 나아질 것으로 보지만, 정책이 중립 수준에 가까워지지 않으면 불필요하게 경로가 틀어져 (실질 GDP와 잠재 GDP의 차이인) 잠재적 산출 격차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마이런은 또한 행정부의 이민 억제, 규제 완화, 감세, 관세로 인한 세수 증가를 디스인플레이션 요인으로 꼽았다. 그는 “노동시장 통계와 현장의 증언은 국경 정책이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미국의 규제 체계는 성장을 저해하는 실질적 장애물이 됐다”고 지적했다.

Fed 멤버와 많은 경제학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중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마이런은 “일부 상품 가격의 비교적 작은 변화가 지나치게 큰 우려를 불러왔다”고 반박했다.

마이런은 오는 2026년 1월 31일 임기가 끝날 때까지 Fed 이사직을 수행한 뒤, 다시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으로 복귀할 예정이다. 그는 이번 연설에서도 CEA 연구 결과를 다수 인용했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