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 이사가려고 했는데 어쩌나"…마음 급해진 서민들

6 hours ago 2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들. /사진=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들. /사진=연합뉴스

내년 전국 주택 전셋값이 급등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매매가는 서울 등 수도권은 오름세를 이어가고, 지방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4일 열린 ‘2026년 건설·자재·부동산 경기 전망 및 시장 안정·지속가능성 확보 세미나’에서 내년 전국 주택 전셋값이 4.0%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입주 물량 감소와 매매 수요의 전·월세 전환 등이 맞물리며 임대차 시장이 불안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세 물건 부족 현상이 심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수도권 주택 매매가는 2%가량 뛸 전망이다. 반면 지방은 0.5% 하락할 것으로 예상돼 양극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적으로 주택 매매가는 0.8%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주택 인허가와 분양 물량은 모두 올해보다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지만, 실질적 공급 확대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건산연은 2026년 주택 인허가는 47만 가구, 분양은 25만 가구 수준으로 내다봤다. 이는 올해 인허가 전망치인 44만 가구, 분양 전망치 21만 가구보다 증가한 수치다. 공공 부문 공급 확대가 민간 부문 감소분을 보완하고, 사업 환경 개선에 대한 기대감 등도 반영될 전망이다.

다만 실제 착공까지 이어지는 비율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치솟는 공사비, 금융 조달 여건 악화, 건설안전 규제 강화 등으로 착공 지연 등 공급을 제한하는 요인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또 수도권 등의 인기 주거지로만 수요가 집중돼 비선호 지역에서는 미분양이 적체될 것으로 전망됐다.

건설 경기는 점진적 회복세가 예고됐다. 내년 건설 수주는 올해보다 4.0%가량 증가한 231조2000억원으로 예상됐다. 민간 부문은 회복세가 강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지만, 공공 수주가 8.4% 증가한 72조3000억원으로 전체 수주 확대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내년 건설투자는 270조원으로 올해보다 2.0%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이지혜 건산연 연구위원은 “국내 건설 산업은 저성장·고비용·고위험의 구조적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건설 산업의 회복 탄력성을 높이고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스마트 건설 확대 등 건설투자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성환 연구위원은 “3기 신도시와 공공주택의 조기 공급, 민간 사업성 제고, 지방 정주 여건 개선 등이 병행돼야 실효성 있는 부동산 경기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안정락 기자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