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생산 역량이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에 집중되자 범용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제프 클라크 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전날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AI용 고대역폭메모리(HBM)부터 개인용 컴퓨터(PC)용 칩에 이르기까지 D램 공급이 빡빡해지고 있으며, 낸드플래시와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등 저장장치 전반의 원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토로했다.
PC 및 주변 용품 제조업체 HP의 엔리케 로레스 최고경영자(CEO)는 “내년 하반기 메모리 공급난이 특히 심해질 것”이라며 “공급처를 다변화하고 제품 내 메모리 탑재량을 조정하는 등 공격적인 대응에 나섰지만 가격 인상은 불가피해 보인다”고 밝혔다.
이런 현상은 ‘AI 쏠림’의 결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메모리 빅3’가 수익성이 월등한 AI 데이터센터용 칩 생산에 라인을 할당하면서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범용 메모리 생산 여력이 급감한 것이다. 공급난의 불똥은 PC를 넘어 모바일과 자동차 산업으로 튀고 있다.
실리콘밸리=김인엽 특파원 inside@hankyung.com

5 hours ago
2


![[포토] 누리호 4차 발사 성공…민간 우주시대 열렸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509382.1.jpg)








![[속보] SK텔레콤 3분기 영업익 484억원…전년 대비 90.92%↓](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D.41815821.1.jpg)



English (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