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생산적 금융' 첫 시험대 은행 먼저 움직였다…VC업계는 '신중 모드'

5 hours ago 2

금융권, '생산적 금융' 앞세워 체질 전환 가속
"제도 안 바뀌면 의미 없다"…VC는 관망 기류
시장 자율·성과 구조 필요…정책금융 한계 시험대

  • 등록 2025-10-22 오후 8:32:16

    수정 2025-10-22 오후 8:32:16

이 기사는 2025년10월22일 18시32분에 마켓인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마켓in 송재민 기자] 정부가 ‘생산적 금융’을 국정 금융기조로 내세우면서 금융권이 일제히 체질 전환에 나섰다. 우리금융, 하나금융, BNK금융그룹 등 주요 은행지주들이 생산·포용금융을 전담하는 조직을 신설하거나 조 단위 펀드 조성을 발표하며 ‘혁신 자본’ 역할 강화에 나서고 있다. 다만 비은행권 벤처캐피탈(VC) 업계는 아직은 신중하게 상황을 지켜보는 분위기다.

여의도 증권가 전경. (사진=연합뉴스)

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하나금융그룹은 생산적 금융을 전담하는 ‘경제성장전략TF’를 신설하고 자회사인 하나벤처스를 포함해 벤처투자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우리금융도 ‘5조원 규모의 생산적 금융 펀드’ 조성 계획을 발표하며 우리PE자산운용, 우리벤처파트너스를 중심으로 첨단산업과 스타트업 투자를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BNK금융그룹 역시 지역금융 중심 전략에 맞춰 IPO·SPAC 상장 지원과 지역 혁신기업 투자 펀드를 통한 실물경제 지원책을 내놨다.

이처럼 금융지주들은 자금이 생산적 영역으로 흘러가도록 직접 투자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생산적 금융’은 금융자원을 부동산이나 단기 예금이 아닌 첨단산업, 벤처·소상공인 등 성장 부문에 투입하겠다는 개념이다. 단기 수익보다 산업 전반의 성장 기여도를 중시하는 방식으로, 과거 ‘정책형 금융’이 공급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시장 자율과 수익성을 결합한 투자형 구조로 진화하는 셈이다. 이억원 전 기재부 1차관이 금융위원장 후보로 지명된 이후 해당 기조를 강하게 피력하면서 정책 화두로 떠올랐다.

다만 VC업계의 시선은 다소 엇갈린다. 정부와 금융권이 강조하는 생산적 금융이 실제로 벤처생태계의 자금 흐름과 투자구조를 바꿀 수 있을지에 대해선 아직 신중한 입장이다. 한 VC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생산적 금융을 강조하지만 자금 운용 방식이 바뀌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며 “은행권의 벤처 진출은 제도 전환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금융기관이 스타트업 생태계의 복병이 아닌 동반자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VC들은 정부 기조에 동참해야 한다는 공감대는 있지만, 정책 신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시장 변화를 확인한 뒤 발을 맞추겠다는 태도다. ‘생산적 금융’이 현실화되려면 정책 방향뿐 아니라 운용사 평가·성과보수 구조 등 세부 제도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장에서는 ‘생산적 금융’의 주체가 결국 벤처투자 생태계로 이동할 가능성에 주목한다. VC는 민간 혁신자본으로서 산업의 성장축을 담당할 잠재력이 크지만,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충분치 않다면 정책 유행으로 끝날 수 있다는 경계도 크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은행권이 문을 열었고, 이제 VC가 언제 본격적으로 따라붙을지에 관심이 쏠린다”며 “자금의 질적 전환을 이끌 실질적 무대는 결국 벤처투자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도 “정책 신호만으로 섣불리 움직이긴 어렵다”며 “VC가 주도권을 잡기까지는 시장 검증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