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불장에 돌아온 행동주의펀드…“LG화학, 주주이익 높여라”

5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스피가 사상 최고가를 연일 경신하는 가운데 외국계 행동주의펀드들이 한국 시장에 재진입하고 있다.

영국계 행동주의펀드 팰리서캐피털은 LG화학에 대한 공개 행동을 시작하며 자사주 매입과 경영진 보상 체계를 포함한 가치 제고 방안을 제안했다.

이로 인해 한국 기업에 대한 외국계 행동주의펀드 활동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들은 이러한 압박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英팰리서캐피털 “LG화학, 주주이익 높여라”

스미스 창업자 “자사주 매입해야 극심한 저평가 해소”
LG화학 주가 13% 치솟아…코스피 연일 사상최고치

LG화학 폴란드 공장 [LG화학]

LG화학 폴란드 공장 [LG화학]

코스피가 사상 최고가를 연일 경신하는 가운데 외국계 행동주의펀드들이 다시 한국 시장에 상륙하는 모양새다. ‘코스피 5000 시대’를 공약으로 내건 이재명 정부가 주주가치 제고에 적극적으로 나서자 행동주의펀드가 활동하기에 매우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됐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평가된다.

영국계 행동주의펀드 팰리서캐피털은 22일(현지시간) LG화학을 상대로 ‘공개 행동’에 착수했다. 팰리서는 전날 미국 뉴욕에서 열린 투자 콘퍼런스에서 이사회 구성, 경영진 보상체계, 자사주 매입 등을 아우르는 LG화학 가치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제임스 스미스 팰리서 창업자 겸 최고투자책임자

제임스 스미스 팰리서 창업자 겸 최고투자책임자

제임스 스미스 팰리서 창업자 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매일경제와 진행한 단독 인터뷰에서 “자사주 매입은 LG화학이 극심한 저평가를 해소하고 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강력한 조치”라고 주장했다. 그는 팰리서가 LG화학 지분 1%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LG화학의 시가총액(22일 종가 27조원)이 LG에너지솔루션 지분가치(약 87조원)에 비해 턱없이 낮은 것은 주가 저평가 상황을 극명하게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스미스 CIO는 “LG화학을 코스피 5000 시대의 모범 사례로 만들 것”이라며 “23일부터 LG화학 주요 주주와 소통하며 주가를 높일 계획을 논의할 것”이라고 공격적 행보를 예고했다.

이에 LG화학 관계자는 “여러 의견을 경청하며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일단 말을 아꼈다.

사진설명

스미스 CIO는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을 문제 삼아 한국 정부를 상대로 국제투자 분쟁 소송까지 제기했던 엘리엇펀드 출신이다. 팰리서는 10억달러 수준의 운용자산을 바탕으로 과거에도 삼성물산, SK스퀘어 등을 상대로 주주제안을 했다. 엘리엇펀드 외에 1% 수준의 지분을 보유한 행동주의펀드들이 KT&G 등을 대상으로 ‘실력 행사’에 나선 전례도 있다.

이날 팰리서의 움직임이 국내 증시에 전해지면서 LG화학은 전일 대비 13.01% 급등한 39만1000원에 마감했다. 장중에는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기도 했다.

팰리서의 공개 행보를 계기로 자산운용 업계에서는 향후 외국계 행동주의펀드 활동이 더욱 활발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상법 개정안 등을 활용해 한국 기업을 공략할 여지가 커졌다는 것이다. 반대로 기업 측에서는 이들 행동주의펀드까지 상대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한편 이날 코스피는 기관 순매수 덕에 전일 대비 1.56% 오른 3883.68에 마감했다. 6거래일 연속 상승해 4000까지 3%가량을 남겨두고 있다. 장 초반 하락하던 삼성전자는 1.13% 오른 9만8600원에 거래를 마감하며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