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보러 오는 사람 뚝”…10·15대책에 서울 아파트 심리 9주 만에 하락

7 hours ago 2

강화된 대출 한도·토지거래허가제 여파
규제지역 확대…강북권은 타격 더 커
“대출 의존도 높은 실수요 비중 높은 탓”

서울시내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임차인이 애타게 매물을 구하고 있다는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한주형 기자]

서울시내 한 부동산 중개업소에 임차인이 애타게 매물을 구하고 있다는 안내문이 부착돼 있다. [한주형 기자]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자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해당 지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급속도로 식은 모양새다.

4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 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 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집계됐다. 지난 8월 18일(99.1) 이후 처음 하락 전환한 수치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로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우위,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우위임을 뜻한다.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고강도 대출 규제를 담은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가 9월과 10월 두 달에 걸쳐 반등한 바 있다. 이후 10·15 대책의 규제지역 확대 시행(16일)에 이어 토허구역 지정(20일)까지 ‘삼중 규제’가 모두 적용된 상황을 처음 반영한 10월 27일 기준 발표에서 9주 만에 처음 하락한 것이다.

10·15 대책으로 규제지역에서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 한도가 종전 70%에서 40%로 낮아지고 15억원 초과 주택의 주담대 한도가 2억∼4억으로 감소하는 등 대출 규제가 강화됐다. 동시에 토허구역 지정으로 2년간 실거주 의무가 부여돼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도 불가능해진 셈이다.

강북권 하락 폭 확대…매수심리 둔화세

10·15 부동산 대책 주요 규제 요약

서울 전역 규제·대출 제한·토지거래허가 확대…매수심리 9주 만에 하락 전환

1

규제지역 확대
  • ⚙️서울 전역 + 경기 12곳 지정
  •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 중복 적용
  • 📋토지거래허가구역까지 확장

2

대출 규제 강화
  • 📉LTV 70% → 40%로 축소
  • 💰15억 초과 주담대 한도 2~4억
  • 🏠대출 의존 실수요층 타격

3

거래 규제 강화
  • 📜토허구역 지정으로 2년 실거주 의무
  • 🚫갭투자(전세 낀 매수) 차단
  • 📦매물 공급 감소세 지속

📉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105.4 → 103.2 (–2.2p)
강북권 낙폭 –3.2p > 강남권 –1.3p

※ 자료: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수급 동향
정리 = 매경AX

특히 매수심리 위축 정도는 강남권보다 강북권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날 기준 강북권역 매매수급지수는 101.6으로 직전 주(104.8) 대비 3.2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이 기간 강남권역은 106.0에서 104.7로 1.3포인트 낮아져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강북권에서는 도심권(종로구·중구·용산구)이 115.0에서 109.3으로 5.7포인트 하락했고, 마포구가 포함된 서북권은 같은 기간 107.7에서 104.9로 2.8포인트 낮아졌다.

그간 과열 양상을 보인 지역(성동·광진구)과 집값 상승세가 상대적으로 약했던 지역(노원·도봉·강북구 등)을 모두 아우르는 동북권은 101.8에서 99.0으로 떨어져 수요 우위에서 공급 우위로 돌아섰다.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매경DB]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 [매경DB]

강남권역은 핵심 지역인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가 전부터 이미 규제지역과 토허구역으로 묶여 규제에 익숙한 데다 대출 규제 영향을 덜 받는 현금 보유자가 많지만, 강북권은 대출 의존도가 높은 실수요 비중이 강남보다 상대적으로 큰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수요 위축과 더불어 토허구역 지정에 따른 갭투자 차단으로 매물 공급이 줄어드는 양상도 10·15 대책 이후 지속되고 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물량은 10·15 대책 발표일인 지난달 15일 7만4044건에서 이날 6만3178건으로 1만326건(13.9%) 감소했다.

Read Entire Article